프로그래밍
상태머신(FSM)을 이용한 이벤트관리 방식
눈으로말하다
2011. 11. 14. 20:23
Finite Status Machine 에 대해서 공부를 했다.
▼ 아래 링크로 이동하여 참조
http://blog.naver.com/adsloader?Redirect=Log&logNo=50119456326
FSM을 간단하게 말하면, Visual C++, JAVA, C#과 같은 이벤트 핸들러 방식으로 개발한다고 생각하면 된다.
대충 내용을 그림으로 표현하면, 아래와 같다.
상태머신(FSM)은 동기적 API 사용이 불가능한 임베디드 S/W
많은 로직이 사용되는 게임시스템 등에서 많이 사용된다.
처음엔, 참조했던 블로그 포스팅의 내용을 토대로 만들었었는데, typedef이 cross reference를 하고 있어서 오류가 났다. 뭐 대충 그런건 간단히 해결하고.
전자렌지를 가상화 해서 대충 만들어봤다.
뭐, 소스가 깨끗하진 않지만 대충 어떤 내용인지 이해했고, 그 방식으로 구현은 완성.
상태머신(FSM)에 대해서 좀 더 공부해 볼 필요가 있을 것 같다.
덧. 구현하고 나서 보니까, 참조했던 포스팅에 첨부파일이 있다. 한 번 열어서 참조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.